본문 바로가기
주식/배당주

코스트코 배당금 정보 알아보기

by 머니정보왕 2025. 1. 1.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스트코의 배당금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해당 정보에 대해서 관심 있으신 분이 있다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코스트코 배당금 정보 알아보기

▤ 목차

     

    코스트코 배당금 정보

     

    배당락일 배당 수익률
    11월 01, 2024 1.16 0.53%
    7월 26, 2024 1.16 0.57%
    4월 25, 2024 1.16 0.64%
    2월 01, 2024 1.02 0.59%
    12월 27, 2023 15 8.89%
    11월 02, 2023 1.02 0.73%
    8월 24, 2023 1.02 0.75%
    5월 04, 2023 1.02 0.83%
    2월 02, 2023 0.9 0.70%
    10월 27, 2022 0.9 0.72%
    7월 28, 2022 0.9 0.69%
    4월 28, 2022 0.9 0.65%
    2월 03, 2022 0.79 0.61%
    10월 28, 2021 0.79 0.65%
    7월 29, 2021 0.79 0.75%
    4월 29, 2021 0.79 0.86%
    2월 04, 2021 0.7 0.79%

     

    주식회사 코스트코는 1년 4번 배당을 지급하는 주식이며, 1/4/7/10월에 배당락과 같은 달에 배당금을 지급해 오고 있습니다. 더욱이 몇 년마다 특별 배당이 있다는 점에서 오래 보유하게 만드는 주식중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자세한 배당 정보에 대해서 관심 있으신 분이 있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여 주세요!!. ******

     

     

     

    코스트코 회사소개

    코스트코 홀세일(Costco Wholesale Corp.)은 창고형 매장에서 한정으로 선별 된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쇼핑하고 구매할 수 있는 멤버쉽을 판매합니다. 조건 없이 환불 가능하며 직원 복지가 좋은 것 또한 본 회사의 특징입니다.

    식품, 음료, 주류, 전자 및 가전 제품, 건강 및 미용 제품, 의류 등 광범위한 제품을 판매하며, 주유소, 약국, 푸드 코트 및 보청기 센터 등의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고, 다양한 국가에서 비즈니스 배달, 여행, 그리고 기타 서비스 또한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회사들을 포함해서 미국, 푸에르토리코, 캐나다, 영국, 멕시코, 일본, 한국, 호주, 스페인, 프랑스, 아이슬란드, 중국 및 대만에 진출해 있으며, 2019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에 782 여개의 매장이 있습니다.
    매출의 대부분은 미국 (73 %)과 캐나다 (14 %)에서 발생하며, 멕시코, 영국 및 일본에서도 상당한 규모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캐나다, 영국, 멕시코, 한국 및 대만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9년도 품목에 따른 매출 비중을 참조했을 때, 식품과 잡화가 40 %를 차지했으며, 연료 및 약국 등의 공동 경영 비즈니스는 19 %, 하드 라인 16 %, 신선 식품 13 %, 그리고 소프트 라인은 11 %였습니다.
    코스트코의 창고는 평균 약 146,000 평방 피트이며, 매장의 75%에 주유소가 함께 있습니다.
    또한 해외 매출의 약 4%가 온라인 쇼핑몰 채널에서 발생합니다.

    1993년 두 창고형 할인점 업체인 프라이스클럽과 코스트코가 합병하고, 1999 년 8 월에 코스코 홀세일 코퍼레이션으로 상호명을 바꾸었습니다. 1976 년에 설립 되었으며, 본사는 워싱턴에 있습니다.

     

    https://www.costco.com/

     

    Welcome to Costco Wholesale

    Fairlife Nutrition Plan, 30g Protein Shake

    www.costco.com

     

     

    배당금의 장점

     

    1. 약세장 완충역할 입니다. 약세장에서 배당금은 2가지의 방식으로 투자자에게 중요한 도움을 줍니다. 배당금 재투자를 통해 기존 보유한 주식보다 늘어난 주식 수는 포트폴리오의 가치 하락에서 오는 충격을 완충해 줍니다. 이러한 배당 재투자가 완충의 역할을 해줍니다. 이러한 약세장에서 늘어난 수량은 시장이 회복이 되면서 수익 가속기를 해주어서 수익률의 영향을 주게 됩니다.

    2. 매매에서의 자유로움 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 투자를 할 시에 시세 차익에만 집중을 할려고 합니다. 시세차익에 집중을 하게 되면 투하된 자본의 회수를 일정한 현금흐름으로 할 수가 없게 됩니다. 일정한 현금흐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매매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생겨난 것이 무한 매수법 같은 것이 있습니다. ( 무한 매수법은 매일 또는 주기적으로 매매를 하여 일정한 수익률을 달성하게 되면 매도 하여 수익률을 얻는 방법 ) 물론 트레이딩을 통해서 엄청난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업투자를 하시는 분이 아니라면 절대 해서는 안되는 행동 입니다. 왜냐하면 자기가 본업으로 하고 있는 집중분야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매매를 하지 않고 지속적인 소득을 올릴수 있게 하는 주식투자법이 배당주 투자법입니다.

    3. 세번째 장점은 인내심입니다. 주식을 보유하는 것이 정말 싫어 질때가 많습니다. 왜 싫어지냐구요? 돈이 안되고 까먹기만 할때 정말 싫어집니다. 하지만 배당주는 이러한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때가 되면 따박 따박 월급이나 월세처럼 나오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시세차익이 마이너스가 되는 것보다 배당 받는 날이 기대가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주식을 보유하고 싶어지는 인내심이 커질 수 있어 장기투자가 가능한 수단입니다. 

    3. 역사적 증명사례가 있습니다. 배당투자의 대부라고 할 수 있는 제레미 시겔 교수님의 투자책 "투자의 미래"라는 책에서 발견한 사례입니다. " 대다수 투자자는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경제 성장을 이끄는 기업이 더 나은 수익을 준다는 믿음을 가집니다. 1950년대 대표적인 성장주 IBM과 스탠더드오일의 실제 투자사례를 비교해 봅시다. 두 주식을 1950년에 매수한 다음 매년 수량하는 배당금으로 주식을 늘리면서 2003년말까지 보유했을 때 실제 연평균 투자수익률은 IBM은 13.83%, 스탠더드오일은 14.42%로 계산됩니다. IBM은 좋은 성과를 냈으나 투자자 또한 그러한 결과를 기대했기 때문에 주가는 계속해서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반면에 스탠더드오일 투자자는 이익 증가에 대한 기대 수준이 매우 낮았고 덕분에 주가도 계속 낮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투자자는 배당금의 재투자를 통해 더 많은 주식을 보유하게 됬습니다. 이 같은 주식 수의 차이가 스탠더드오일 투자자에게 더 높은 투자 수익을 안겨준 셈입니다." 제레미 시겔 교수님의 책에서 찾아본 역사적 사례에서도 이러한 배당주 투자의 장점을 찾아 볼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