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F/ETF상식9 ETF로 배당주 투자하기(1) - 배당 투자의 장점 및 단점 배당주 투자의 장점 1. 약세장 완충역할 입니다. 약세장에서 배당금은 2가지의 방식으로 투자자에게 중요한 도움을 줍니다. 배당금 재투자를 통해 기존 보유한 주식보다 늘어난 주식 수는 포트폴리오의 가치 하락에서 오는 충격을 완충해 줍니다. 이러한 배당 재투자가 완충의 역할을 해줍니다. 이러한 약세장에서 늘어난 수량은 시장이 회복이 되면서 수익 가속기를 해주어서 수익률의 영향을 주게 됩니다. 2. 매매에서의 자유로움 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 투자를 할 시에 시세 차익에만 집중을 할려고 합니다. 시세차익에 집중을 하게 되면 투하된 자본의 회수를 일정한 현금흐름으로 할 수가 없게 됩니다. 일정한 현금흐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매매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생겨난 것이 무한 매수법 같은 것이 .. 2023. 8. 12. 인덱스 ETF - 인덱스 ETF 투자하는 이유, 종목 선정 인덱스 ETF의 투자하는 이유 본인은 인덱스 ETF를 위주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왜 인덱스 ETF에 투자를 하냐구요? 이 ETF에 투자하는 것이 저에게는 가장 수익률이 좋기 때문입니다. 개별적인 투자를 하여도 저는 장기적으로 인덱스 ETF의 수익률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트레이딩을 하더라도 인덱스 ETF라는 종목을 대상으로만 단타를 하며, 장기적인 투자를 하더라도 인덱스 ETF만을 대상으로 장기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 *제가 칭하는 이 인덱스 ETF란 어떠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말하며 펀드매니저의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가는 ETF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 더군다나 시간 지평을 늘려 10년 이상을 투자를 한다면 상위 10%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기에 저는 인덱스 ETF에 투자를 .. 2023. 8. 11. ETF 투자 시 알아야 할 점_집합투자업자, 괴리율과NAV 집합투자업 ETF시장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회사입니다. ETF를 기획하고 상품화 하는 과정에서 펀드매니저로서 ETF를 운용하는 업무 전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투신사, 운용사, 자산운용회사라고 불렀으나 지금은 집합투자업자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회사라는 것은 알겠는데 이 회사를 ETF투자시 왜 잘 알아야 할까? 바로 그 이유는 회사의 존립 유무이다. ETF라는 것도 회사의 동고동락과 같이 하기 때문이다. 운용자산이 몇개 없고 대형화된 운용사가 아니라면 그 ETF도 머지 않아 회사가 없지듯이 없어 질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동성의 문제로 인해 시장에서 제공하는 가치의 괴리율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어 ETF 투자를 하는 것인지 기부를 하는 것인지 황당할 때가 있.. 2023. 7. 16. ETF와 펀드_정의 및 차이점, 장점, 단점, 활용법 ETF의 정의 KOSPI200, KOSPI50과 같은 특정지수의 수익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Index Fund). 인덱스 펀드와 뮤추얼 펀드의 특성을 결합한 상품이다. 2002년 처음으로 도입된 ETF는 인덱스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에 상장돼 일반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습니다. 펀드의 정의 특정한 목적을 위해 모아진 자금을 자산운용회사가 투자자들을 대신해 운용하는 금융상품입니다. ETF와 펀드의 차이점 ETF는 주식시장에 상장이 되어 있어 시장에서 거래를 합니다. 이런점에서 펀드와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펀드는 은행, 증권사, 보험사, 각종 금융상품 판매를 지원하는 판매사에서 펀드를 판매합니다. 여름철 더운 날 은행에 가서 잔깐 쉬고 싶어 은행일을 보러가면 은행직원분들이 이러.. 2023. 7. 1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