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TF106

ETF로 배당주 투자하기_한국형 월배당 ETF (미래에셋자산운용편) 1. 월배당 ETF란? 월배당 ETF란 주식시장에서 상장되어 있는 ETF중에서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는 ETF를 말하고 있습니다. 여러군데의 자산운용사에서 이러한 상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운용사로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사에서 출시하고 있는 TIGER ETF시리즈가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상품들이 인기를 끌면서 타운용사에서도 이러한 상품들을 많이 출시하고 있습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KB자산운용의 KBSTAR, 신한자산운용의 SOL,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등 에서 투자자들의 수요를 바탕으로 월배당 ETF상품들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ETF들과 주식들이 많았으나 한국에서는 이러한 상품들이 사실상 전무후무하였습니다. 하지만 SCHD라는 미국배당다우존슨 지수의 배당 ETF가.. 2023. 8. 20.
유대인 포트폴리오 유대인 포트폴리오란? 유대인 포트폴리오란 이전 유대인들의 지식을 빌려 자산배분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예전 유대인들은 사업에 30% 부동산에 30% 현금의 30%를 투자하라고 했습니다. 이러한 지혜를 빌려 해당 자산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유대인 포트폴리오 구성 유대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주식형 ETF SPY로 하나를 구성합니다. 부동산 리츠의 ETF 대표격인 VNQ 나머지 비중은 현금으로 비중을 두었습니다. 아주 단순한 포트폴리오 구성입니다. 해당 포트폴리오를 개별주식으로 두어도 무방합니다. 아마 개별주식으로 구성을 한다면 수익률은 더 올라갈 것이고 손실율 또한 엄청날 것임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대략 15년 동안 300%의 수익률을 달성했습니다. 평균 수익률은 11.. 2023. 8. 15.
데이비드스웬슨 포트폴리오 데이비드 스웬슨은 누구인가? 현존하는 최고의 자산배분 전문가이자 기금 운용자다. 현재 예일 대학 최고투자책임자(CIO)로서 1985년부터 예일 대학 기금을 운용하고 있다. 위스콘신 주립 대학을 졸업한 후 예일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일 대학 기금을 운용하기 전에는 리먼 브러더스, 살로몬 브러더스 같은 월스트리스의 투자 기관에서 일했다. 스웬슨은 10억 달러에 불과했던 예일 기금을 한때 229억 달러까지 늘려놓았다. 현재 예일 기금은 하버드에 이어 세계 2위의 대학 기금으로 자리하고 있다. 스웬슨은 1997년부터 2008년까지 10년 동안 연평균 16.3%라는 경이로운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미국의 권위 있는 금융 월간지 '인스티튜셔널 인베스터 매거진'은 2004년 처음 실시한 투자 운.. 2023. 8. 14.
ETF로 배당주 투자하기(1) - 배당 투자의 장점 및 단점 배당주 투자의 장점 1. 약세장 완충역할 입니다. 약세장에서 배당금은 2가지의 방식으로 투자자에게 중요한 도움을 줍니다. 배당금 재투자를 통해 기존 보유한 주식보다 늘어난 주식 수는 포트폴리오의 가치 하락에서 오는 충격을 완충해 줍니다. 이러한 배당 재투자가 완충의 역할을 해줍니다. 이러한 약세장에서 늘어난 수량은 시장이 회복이 되면서 수익 가속기를 해주어서 수익률의 영향을 주게 됩니다. 2. 매매에서의 자유로움 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 투자를 할 시에 시세 차익에만 집중을 할려고 합니다. 시세차익에 집중을 하게 되면 투하된 자본의 회수를 일정한 현금흐름으로 할 수가 없게 됩니다. 일정한 현금흐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매매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생겨난 것이 무한 매수법 같은 것이 .. 2023. 8. 12.
반응형